[1] 子罕言利與命與仁.
공자께서는 이익과 같이 의리를 해치는 것이나, 천명(天命)과 인(仁)처럼 실현하기 어려운 도리에 대해서는 좀처럼 말씀하지 않으셨다.
[2] 達巷黨人曰, “大哉孔子! 博學而無所成名.” 子聞之, 謂門弟子曰, “吾何執? 執御乎? 執射乎? 吾執御矣.”
달함 고을의 사람이 말하였다. “위대하도다, 공자여! 그러나 폭넓게 공부는 했지만, 한 분야에서도 전문적인 명성을 이루지는 못했구나.”
공자께서는 이 말을 들으시고 문하의 제자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무엇을 전문으로 할까? 수레몰이를 전문으로 할까, 활쏘기를 전문으로 할까? 그렇다면 나는 수레몰이를 전문으로 해야겠다.”
[3] 子曰, “麻冕, 禮也, 今也純, 儉, 吾從衆. 拜下, 禮也, 今拜乎上, 泰也. 雖違衆, 吾從下.”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삼베로 만든 관을 쓰는 것이 예법에 맞지만, 지금은 명주로 만든 것을 쓴다. 이것이 검소하므로 나는 여러 사람들이 하는 것을 따르겠다. 마루 아래에서 절하는 것이 예법에 맞지만, 지금은 마루 위에서 절을 한다. 이것은 교만한 것이므로, 비록 여러 사람들과 다르더라도 나는 마루 아래서 절하겠다.”
[4]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공자께서는 네 가지를 절대로 하지 않으셨다. 사사로운 뜻을 갖는 일이 없으셨고, 기필코 해야 한다는 일이 없으셨다. 무리하게 고집부리는 일도 없으셨고, 자신만을 내세우려는 일도 없으셨다.
[5] 子畏於匡, 曰, “文王旣沒, 文不在玆乎? 天之將喪斯文也, 後死者不得與於斯文也, 天之未喪斯文也, 匡人其如予何?”
공자께서 광 땅에서 위태로운 일을 당하셨을 때 말씀하셨다. “문왕께서 이미 돌아가셨으니 이제 그 문화가 여기에 있지 않은가? 하늘이 장차 이 문화를 없애려 하신다면, 나는 이 문화에 참여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하늘이 이 문화를 없애려 하지 않으신다면 광 땅의 사람들이 나를 어찌하겠느냐?”
[6] 大宰問於子貢曰, “夫子聖者與? 何其多能也?” 子貢曰, “固天縱之將聖, 又多能也.” 子聞之曰, “大宰知我乎! 吾少也賤, 故多能鄙事. 君子多乎哉? 不多也.” 牢曰, “子云, ‘吾不試, 故藝.’”
태재가 자공에 물었다. “선생님께서는 성인(聖人)이신가? 어찌 그렇게 다재다능하신가?”
자공이 말하였다. “본래 하늘이 그분을 큰 성인으로 삼고자 하였으므로, 또한 다재다능하신 것입니다.”
공자께서 이를 듣고 말씀하셨다. “태재가 나를 아는가? 나는 젊었을 때 천하게 살았기 때문에 비천한 일에 여러 가지로 능한 것이다. 군자가 여러 가지 일에 능할까? 그렇지 않다.”
노가 말하였다.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관직에 등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가지 재주를 익히게 되었다’라고 하셨다.”
[7] 子曰, “吾有知乎哉? 無知也. 有鄙夫問於我, 空空如也. 我叩其兩端而竭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아는 것이 있는가? 나는 아는 것이 없다. 그러나 어떤 비천한 사람이 나에게 질문을 한다면, 아무리 어리석더라도, 나는 내가 아는 것을 다하여 알려줄 것이다.”
[8] 子曰, “鳳鳥不至, 河不出圖, 吾已矣夫!”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봉황새도 오지 않고, 황하에서 하도도 나오지 않으니, 나는 이제 끝인가 보구나!”
[9] 子見齊衰者冕衣裳者與瞽者, 見之, 雖少必作, 過之必趨.
공자께서는 상복을 입은 사람이나 예복을 갖추어 입은 사람, 그리고 장님을 만나시면, 그들을 보아서 그들이 비록 젋다고 하더라도 반드시 일어섰으며, 그들의 앞을 지나가실 때에는 반드시 종종걸음을 하셨다.
[10] 顔淵喟然歎曰, “仰之彌高, 鑽之彌堅. 瞻之在前, 忽焉在後. 夫子循循然善誘人, 博我以文, 約我以禮, 欲罷不能. 旣竭吾才, 如有所立卓爾. 雖欲從之, 末由也已.”
안연이 크게 탄식하며 말하였다. “우러러볼수록 더욱 높고, 파고 들어갈수록 더욱 견고하며, 바라보면 앞에 계신 듯하다가 어느새 뒤에 와 계신다. 선생님께서는 차근차근 사람들을 잘 이끌어 주시어서, 학문으로 우리를 넓혀 주시고, 예의로써 우리를 단속해 주신다. 그만두고 싶어도 그만둘 수 없으니, 이미 나의 재주를 다 하여도, 선생님께서 세워 놓으신 가르침은 우뚝 서 있는 듯하다. 비록 그것을 따르고자 해도 따라 갈 수가 없구나.”
[11] 子疾病, 子路使門人爲臣. 病間, 曰, “久矣哉, 由之行詐也! 無臣而爲有臣. 吾誰欺? 欺天乎! 且予與其死於臣之手也, 無寧死於二三子之手乎! 且予縱不得大葬, 予死於道路乎?”
공자께서 병이 심해지시자 자로가 제자를 시켜서 가신 노릇을 하게 했다. 병이 조금 뜸해지시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오래되었구나. 유가 거짓을 행한 지가! 가신이 없으면서 가신이 있는 척을 하다니, 내가 누구를 속이겠느냐? 하늘을 속이겠느냐? 또한 내가 가신의 손에서 죽기보다는 오히려 자네들의 손에 죽는 것이 낫지 않겠느냐? 또 내가 비록 성대한 장례는 치러질 수 없다 하더라도, 길바닥에서 죽기야 하겠느냐?”
[12] 子貢曰, “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 求善賈而沽諸?” 子曰, “沽之哉! 沽之哉! 我待賈者也.”
자공이 말하였다. “여기에 아름다운 옥이 있다면 궤 속에 넣어서 보관해 두시겠습니까? 좋은 상인을 구하여 파시겠습니까?”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팔아야지! 팔아야지! 나는 상인을 기다리는 사람이네.”
[13] 子欲居九夷. 或曰, “陋如之何? 子曰, “君子居之, 何陋之有?”
공자께서 동쪽 오랑캐의 땅에 가서 사시겠다고 하자, 어떤 이가 말하기를, “누추할 텐데 어찌 지내시려 하십니까?”라고 하였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가 가서 살면 교화가 될 터인데 무슨 누추함이 있겠느냐?”
[14] 子曰, “吾自衛反魯, 然後樂正, 雅頌各得其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위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온 뒤에야 음악이 바르게 되어 아와 송이 각각 제자리를 찾았다.”
[15] 子曰, “出則事公卿, 入則事父兄, 喪事不敢不勉, 不爲酒困, 何有於我哉?”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가서는 벼슬 높은 이를 섬기고 들어와서는 어른들을 섬기며, 상을 당했을 때는 감히 정성을 다하지 않음이 없고, 술 마시고 실수하지 않는 일과 같은 것은, 나에게 무슨 문제가 있겠는가?”
[16] 子在川上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공자께서 냇가에서 말씀하셨다. “흘러가는 것은 이 물과 같으니 밤낮도 없이 흘러가는구나!”
[17] 子曰,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는 아직 덕(德)을 좋아하기를 아름다운 여인 좋아하듯이 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
[18] 子曰, “譬如爲山, 未成一簣, 止, 吾止也. 譬如平地, 雖覆一簣, 進, 吾往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비유하자면 산을 쌓다가 한 삼태기의 흙이 모자라는 상황에서 그만두었다 하더라도 그것은 내가 그만둔 것이다. 또한 비유하자면 땅을 평평하게 하기 위해 한 삼태기의 흙을 갖다 부었어도 일이 진전되었다면 그것은 내가 진보한 것이다.”
[19] 子曰, “語之而不惰者, 其回也與!”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일러주면 게을리 하지 않는 사람이 바로 안회로다.”
[20] 子謂顔淵曰, “惜乎! 吾見其進也, 未見其止也.”
공자께서 죽은 안연에 대하여 말씀하셨다. “애석하구나! 나는 그가 진보하는 것만 보았지. 그가 멈추어 있는 것을 본 적이 없었다.”
[21] 子曰, “苗而不秀者, 有矣夫! 秀而不實者, 有矣夫!”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싹은 솟았어도 꽃을 피우지 못하는 것이 있구나. 꽃은 피어도 열매를 맺지 못하는 것이 있구나.”
[22] 子曰, “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후배들이란 두려운 것이니, 그들이 지금의 우리만 못하리란 것을 어찌 알 수 있겠는가? 사십, 오십이 되어서도 이름이 알려지지 않는다면, 그 또한 두려워할 만한 사람이 못된다.”
[23] 子曰, “法語之言, 能無從乎? 改之爲貴. 巽與之言, 能無說乎? 繹之爲貴. 說而不繹, 從而不改, 吾末如之何也已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올바른 말로 일러주는 것을 따르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것은 실제로 잘못을 고치는 것이다. 은근하게 타이르는 말에 기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그러나 중요한 것은 그 참뜻을 찾아 실천하는 것이다. 기뻐하기만 하고 참뜻을 궁구하지 않거나, 따르기만 하고 실제로 잘못을 고치지 않는다면, 나도 그런 사람은 끝내 어찌 할 수가 없구나.”
[24] 子曰, “主忠信, 毋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성심과 신의를 지키며, 자기만 못한 사람을 벗삼지 말고,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주저하지 말아라.”
[25] 子曰, “三軍可奪帥也, 匹夫不可奪志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대군의 장수를 빼앗을 수는 있어도, 한 사람의 뜻은 빼앗을 수가 없다.”
[26] 子曰, “衣敝縕袍, 與衣狐貉者立, 而不恥者, 其由也與? ‘不忮不求, 何用不臧?’” 子路終身誦之. 子曰, “是道也, 何足以臧?”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해진 솜옷을 입고서 여우나 담비 털가죽옷을 입은 사람과 같이 서 있어도 부끄러워하지 않을 사람이 바로 유로다! 그러나 ‘남을 해치지도 않고 남의 것을 탐내지도 않으니 어찌 훌륭하지 않은가?’라는 시의 한 구절을 자로가 평생 외우고 다니겠다고 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런 도(道)가 어찌 훌륭하다고까지 할 수 있겠느냐?”
[27] 子曰, “歲寒然後知松柏之後彫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날씨가 추워진 뒤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뒤늦게 시든다는 것을 알게 된다.”
[28] 子曰, “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지혜로운 사람은 미혹되지 않고, 인(仁)한 사람은 근심하지 않으며, 용기 있는 사람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29] 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可與適道, 未可與立, 可與立, 未可與權.”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사람이라도 함께 도(道)로 나아갈 수는 없고, 함께 도로 나아갈 수 있는 사람이라도 입장을 같이 할 수는 없으며, 입장을 같이 할 수 있는 사람이라도 상황에 따른 판단을 함께 할 수는 없다.”
[30] “唐棣之華, 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 子曰, “未之思也, 夫何遠之有?”
‘산앵도나무 꽃이 펄럭펄럭 나부끼네. 어찌 그대 그립지 않으리요마는, 그대 머무는 곳 너무 머네.’
공자께서 이 시에 대해 말씀하셨다. “그리워하지 않는 것이지, 진정 그리워한다면 어찌 거리가 멀 까닭이 있겠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