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구경
법구경에 대하여
법구경(法句經)에 대하여
원시불교 경전. 팔리어로 된 경전을 담마파다(Dhammapada)라 하며, 소부(小部)에 속한다. 여러 자료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 중의 하나이며 불교도들 사이에 가장 널리 애창되어 오늘에 이른다. 시(운문)형식인데 현재 우리가 볼 수 있는 법구경은 모두 26장으로 나누고 그 게송은 장장 423수의 시를 옮긴 팔리어 본과 팔리어 원전의 26장을 500수의 시로 번역하고 여기에 13장 250수의 게송을 추보하고 있는 것이 한역 법구경이다. 문장은 평이하고 분명하며, 깊은 종교적 경지가 담겨있어 불교의 바이블역할을 하고 있다. 또 법구비유경(法句譬喩經), 간다리다르마파다, 우다나바르가, 출요경(出曜經) 등의 여러 가지 이본(異本)이 있다.
시대를 초월해 현대인들의 마음에 가장 절실하고 간절하게 다가오는 경전 중의 하나가 바로 법구경(法句經)이다. 법구경의 두드러진 특색은 시의 형식을 빈 잠언, 지혜의 말씀이라는 점이다. 이 게송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보다 간결한 노래의 형식을 빌어, 입에서 입으로 전하고자 했던 원시교단 구성원들의 노작이다.
법구경의 성립 시기는 대개 기원전 4세기 내외로 추정한다. 그렇지만 법구경의 내용을 살펴보면, 그보다 이전에 이루어 졌으리라고 짐작되는 내용도 있다.
이 경전의 가장 큰 특징은 어떤 교리상의 문제나 계율적인 쟁점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따르는 가장 근본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일 것이다. 결국 법구경의 요지는 ‘어떻게 믿어야 하는가.’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이 두 가지 문제로 귀결된다. 특히 출가수행자나 재가신도를 막론하고, 부처님의 가르침을 받드는 일의 근본은 바로 자신의 마음을 닦는 일, 그래서 모든 욕망과 집착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에서 비롯된다는 사실과, 그러기 위해선 스스로 밝은 지혜를 얻어야만 한다는 법구경의 말씀들은, 왜 법구경이 가장 널이 읽히는 대중적인 경전으로 자리 잡고 있는가에 대한 명확한 해답이 될 것이다.
법구경만큼 예로부터 불교도들에게 애송된 경전도 드물고, 또 오늘날까지도 널리 읽히는 경전은 찾아보기 힘들다. 심지어 불교에 대해 깊은 이해가 없는 사람들까지도 법구경만은 별다른 저항감 없이 접한다는 사실은, 바로 법구경만이 가진 깊은 지혜의 보편성 때문일 것이다.
◆
▶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