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
밥통을 들고 춤을 추다 (제074칙)
밥통을 들고 춤을 추다
-[제074칙]반통작무 -
<수시>
-----------------------------
모름지기 선승이란 막야의 명검을 자유자재로 휘두르고 그 칼날로 마음에 달라붙은 갈등의 병을 즉석에서 잘라버리며 명경 같은 반야의 지혜를 높이 내걸고 단 한마디로도 분명하게 본래 불심의 불가사의한 대광명을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한다. 은밀한 신비의 경지에서는 추우면 옷을 입고 배고프면 밥을 먹는 식으로 자유무애하게 뜻대로의 생활을 한다. 그런 사람은 또 보통 사람이 상상도 못할 만큼 신출귀몰한
활약을 하므로 도저히 가까이 다가가기 어렵다. 자, 그럼 알 수 있겠느냐?
<본칙>
-----------------------------
금우스님은 언제나 점심 때가 되면 몸소 밥통을 가지고 승당 앞에서 춤을 추면서 껄껄대며 말하였다.
“보살아! 밥 먹어라.”
(설두스님은 말하였다. “그러나 금우스님의 마음씨가 좋지는 않다.”)
<송>
-------------------------------
구름 속 어디선가 터지는 웃음소리
두 손으로 안아다 나누어 준 뜻
번뜩이는 눈을 가진 황금사자여
그대는 어디서나 선뜻 알아보리
-[第074則]飯桶作舞 -
<垂示>
垂示云. 鏌鎁[金+耶]橫按. 鋒前剪斷葛藤窠. 明鏡高懸. 句中引出毘盧印. 田地穩密處. 著衣喫飯. 神通遊戲處. 如何湊泊. 還委悉麽. 看取下文.
<本則>
擧. 金牛和尙每至齋時. 自將飯桶. 於僧堂前作舞. 呵呵大笑云. 菩薩子喫飯來. 雪竇云. 雖然如此. 金牛不是好心. 僧問長慶. 古人道. 菩薩子喫飯來. 意旨如何. 慶云. 大似因齋慶讚.
<頌>
白雲影裏笑呵呵. 兩手持來付與他. 若是金毛獅子子. 三千里外見[言+肴]訛.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