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 - 나는 보이지 말고 상대방을 보라(34.외저설(우상).200)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한비자

나는 보이지 말고 상대방을 보라(34.외저설(우상).200)

 

나는 보이지 말고 상대방을 보라

- 한비자 제34편 외저설(우상)[200]-

군주는 신하의 이해관계가 집중하는 표적이다. 군주의 마음에 맞추려는 자가 많기 때문에 군주는 주목을 받는다. 그러므로 군주의 감정이 밖에 나타나게 되면 신하는 그것을 이용하려고 드는 까닭에 군주에게 눈들이 쏠리게 되는 것이다. 군주가 어떤 신하의 말을 다른 신하에게 누설하게 되면 신하들은 말하기를 꺼려할 것이며, 군주 자신도 그 신묘한 위력을 유지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그 예로는 신자가 여섯 가지 삼가 할 것을 말했고, 당역이 주살에 대해서 말한 것이 그것이다. 군주가 그 감정을 표시함으로써 일어나는 해는, 국양이 자기 과실을 고치겠다고 청원한 것이나, 한나라 선왕이 탄식한 것에서 볼 수 있다. 또, 군주의 감정을 통찰하는 방법으로는 정곽군이 귀걸이 구술 열 쌍을 바친 일이라든지, 서수의 일을 감무가 벽에 구멍을 통해 엿들은 예를 들 수 있다. 단계공은 군주가 신하를 다스리는 요령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옥으로 만든 술잔에 대해서 물었고, 한나라 소공은 군주의 정치술을 쓸 수 있었기 때문에 단계공의 이야기를 들은 후에는 혼자서 잘 수 있었다. 현명한 군주의 도는 신불해가 군주에게 독단 정치를 권한 일에서 확실히 엿볼 수 있다.

- 韓非子 第34篇 外儲說(右上)[200]-

人主者, 利害之軺轂也, 射者衆, 故人主共矣. 是以好惡見則下有因, 而人主惑矣 辭言通則臣難言, 而主不神矣. 說在申子之言「六愼」, 與唐易之言弋也. 患在國羊之請變, 與宣王之太息也. 明之以靖郭氏之獻十珥也, 與犀首· 甘茂之道穴聞也. 堂谿公知術, 故問玉巵 昭侯能術, 故以聽獨寢. 明主之道, 在申子之勸獨斷也.

 

 

 

 


[목록]

접속자집계

오늘
1
어제
1
최대
14
전체
659,340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 Copyright © 고전읽기/사주.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