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죽음과 삶에 초연해야 한다 (내편:3.양생주,5)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장자 - 죽음과 삶에 초연해야 한다 (내편:3.양생주,5)

죽음과 삶에 초연해야 한다 (내편:3.양생주,5)

 

죽음과 삶에 초연해야 한다

- 장자(내편) 제3편 양생주[5]-

노담이 죽자, 진실이 가서 세 번 곡하고는 나왔다. 그의 제자가 물었다.

“돌아가신 분은 선생님의 친구가 아닙니까?”

“그래, 친구였다.”

“그렇다면 이렇게 문상을 해도 되는 것입니까?”

“그래. 처음에는 나도 그를 훌륭한 사람으로 여겼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렇지 않다. 내가 문상을 하면서 보니 노인들은 자기 자식을 잃은 것처럼 곡을 하고, 젊은이들은 그의 어버이를 여읜 것처럼 곡을 했다.

그들이 그의 죽음에 슬퍼하는 까닭은 반드시 조상을 하여 달라고 부탁하지는 않았을지라도 조상을 하도록 만들고, 반드시 곡을 해달라고 부탁하지는 않았을지라도 곡을 하도록 만들었기 때문이다. 이것은 자연을 어기고 인정을 배반한 것이며 그의 분수를 잊은 것이다.

그런 것을 옛날에는 자연을 어긴 죄악이라 말했었다. 그 사람이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그가 태어날 때가 되었기 때문이며, 그 사람이 죽은 것 또한 죽을 때가 되었기 때문이다. 윤회하는 때에 안주하고, 주어진 운명에 따르면 슬픔이나 즐거움이 파고들 수 없는 것이다. 옛날에는 이것을 하늘의 속박에서의 벗어나는 것이라 불렀었다.”

- 莊子(內篇) 第3篇 養生主[5]-

老聃死, 秦失弔之, 三號而出.

弟子曰:「非夫子之友邪?」

曰:「然.」

「然則弔焉若此, 可乎?」

曰:「然. 始也吾以爲至人也, 而今非也. 向吾入而弔焉, 有老者哭之, 如哭其子. 少者哭之, 如哭其母. 彼其所以會之, 必有不蘄言而言, 不蘄哭而哭者. 是遯天倍情, 忘其所受, 古者謂之遁天之刑. 適來, 夫子時也. 適去, 夫子順也. 安時而處順, 哀樂不能入也, 古者謂是帝之懸解.」

 

 

 


[목록]
Copyright © 고전읽기. All rights reserved.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