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 사람의 지능은 진리나 원리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잡편:24.서무귀,16)

사이트 내 전체검색




장자

사람의 지능은 진리나 원리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잡편:24.서무귀,16)

 

사람의 지능은 진리나 원리와는 거리가 먼 것이다

- 장자(잡편) 제24편 서무귀[16]-

발이 땅을 밟는 지면은 그 좁기가 이를 데 없다. 비록 밟는 지면이 좁기는 하지만 그 발이 밟지 않는 지면이 넓은 것을 믿은 후에야 안심하고 걸어갈 수가 있는 것이다.

이처럼 사람이 아는 것도 적다. 비록 아는 것이 적지만 그가 알지 못하는 것을 의지하고서야 자연이란 것을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물의 근원이 하나라는 대일(大一)을 알고, 만물의 근원이 지극히 고요하고 움직임이 없다는 일음(一陰)을 알고, 만물을 분별 없이 하나로 보는 대목(大目)을 알고, 자연의 조화가 균등히 작용한다는 대균(大均)을 알고, 자연이란 일정한 법도가 있다는 대방(大方)을 알고, 자연이란 진실하다는 대신(大信)을 알고, 자연이란 안정된 것이라는 대정(大定)을 알면 지극한 경지에 도달한 것이다.

대일은 도로 통하게 해주며, 대음은 모든 분규를 해결하게 해주며, 대목은 자연을 달관하게 하며, 대균은 그의 본성에 따라 스스로 터득하게 하며, 대방은 모든 법도를 터득하게 하고, 대신은 모든 의혹을 없애주며, 대정은 자신을 안정되게 유지해 준다.

사람의 지능이 다 한 곳에 자연의 변화가 있고, 무(無)의 원리가 어둠 속에서도 작용하고 있고, 만물을 생성하게 하는 원리가 있고, 그런 것들을 존재하게 하는 법칙이 있는 것이다. 그것에 대하여 이해한다고 해도 그것에 대하여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사람과 같고, 그것에 대하여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알지 못하고 있는 사람과 같은 것이다. 오히려 아무것도 모르는 경지에 이른 뒤에야 그것을 알게 되기 때문이다. 그것을 추구해보면 한계가 있을 수도 없고, 한계가 없을 수도 없는 것이며, 뒤섞여 있는 듯하면서도 그 속에 실리가 있는 것이다. 그것은 옛날부터 지금까지 바뀌지 않고 손상된 일도 없는 것이다. 그러니 자연에 위대한 원칙이 존재하고 있다고 할 수 있지 않은가?

어찌하여 사람들은 그것에 대하여 추구하지도 않는가? 어찌하여 그렇게 미혹되어 있는가? 미혹되지 않은 마음으로 미혹을 풀어줌으로써 미혹되지 않은 경지로 되돌아가게 하면 바로 본성의 위대한 불혹의 경지에 이르게 되는 것이다.

- 莊子(雜篇) 第24篇 徐無鬼[16]-

故足之於地也踐, 雖踐, 恃其所不蹍而後善博也. 人之於知也少, 雖少, 恃其所不知而後知天之所謂也. 知大一, 知大陰, 知大目, 知大均, 知大方, 知大信, 知大定, 至矣. 大一通之, 大陰解之, 大目視之, 大均緣之, 大方體之, 大信稽之, 大定持之.

盡有天循有照, 冥雨樞, 始有彼. 則其解之也似不解之者, 其知之也似不知之也, 不知而後知之. 其問之也, 不可以有崖, 而不可以无崖. 頡滑有實, 古今不代, 而不可以虧, 則可不謂有大揚搉乎! 闔不亦問是已.奚惑然爲! 以不惑解惑, 復於不惑, 是尙大不惑.

 

 

 


[목록]

접속자집계

오늘
1
어제
1
최대
14
전체
661,402
그누보드5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모바일 버전 Copyright © 고전읽기/사주.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