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자
부와 명예보다 본성을 지키는 것이 났다 (잡편:29.도척,12)
부와 명예보다 본성을 지키는 것이 났다
- 장자(잡편) 제29편 도척[12]-
무족이 말했다.
“부란 사람에 대하여 이롭지 않은 것이 없습니다. 부는 어떠한 아름다움도 이룰 수 있고, 어떠한 권세라도 추구할 수 있으므로 이것은 지극한 사람도 미칠 수 없는 일이며, 성인도 따라갈 수 없는 일입니다. 부는 남의 용기와 능력을 빌어 위세를 떨치고 강한 힘을 발휘합니다. 남의 지혜와 계략을 이용하여 명석하게 잘 살필 수도 있습니다. 남의 덕을 근거로 하여 현명하고 어질게 행동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나라를 다스리고 있지 않아도 임금이나 아버지 같은 위엄을 지닐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음악이나 미술이나 권세와 같은 사람의 마음을 즐겁게 하는 것들을 배우지 않고도 즐길 수가 있습니다. 몸은 다른 물건을 빌지 않고도 편안할 수 있습니다. 탐나는 것을 얻고 싫어하는 것을 피하는 일도 스승을 기다릴 것 없이 이루어집니다. 이것이 사람의 본성입니다. 온 천하가 비록 나를 비난한다 하더라도 누가 그것을 마다할 수 있겠습니까?”
지화가 말했다.
“지혜 있는 사람의 행동은 본시 행동의 표준을 백성들로 삼아서 그들의 기준을 어기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언제나 만족하고 있어서 다투지 않는 것입니다. 할 것이 없으므로 추구하지도 않습니다. 그러나 만족을 못하는 사람은 그 때문에 욕망을 추구하게 되고, 사방으로 다투면서도 스스로 탐욕스럽다고 생각하지 않는 것입니다.
지혜 있는 사람은 남음이 있기 때문에 남이 추구하는 것을 사양하며, 천하를 버리고도 스스로를 결백하고 깨끗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결렴하다거나 탐욕스럽다는 실제 내용은 추구하는 밖의 물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돌이켜 자기 마음의 법도를 살펴보아야 하는 것입니다.
천자의 권세를 누리고 있으면서도 존귀함으로써 남에게 교만하지 않습니다. 천하의 부를 차지하고 있으면서도 재물로써 사람을 희롱하지 않습니다. 천자의 환란을 헤아리고 그것이 천성에 반하는 것임을 생각하고, 그것은 본성을 해치는 것이라 단정하기 때문에 사양하고 받지 않는 것입니다. 명예를 바라기 때문이 아닙니다.
요임금과 순임금이 임금노릇을 하면서도 남에게 임금자리를 사양했던 것은 천하에 어짊을 펴기 위한 것이 아니라, 명예나 이익 때문에 삶을 해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해서였습니다.
선권이나 허유가 임금자리를 내주어도 받지 않았던 것은 공연히 사양한 것이 아니라, 번거로운 일로 인해 자기를 해치지 않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이들은 모두가 그의 이로움을 위해 그 피해를 사퇴한 것이어서 천하 사람들은 현명하다고 칭송하는 것입니다. 그것은 그들이 천하를 차지할 수 있는데도 차지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그들은 명예를 추구해서 그렇게 했던 것이 아닙니다.”
- 莊子(雜篇) 第29篇 盜跖[12]-
无足曰:「富貴之於人, 无所不利, 窮美究埶, 至人之所不得逮, 賢人之所不能及, 俠人之勇力而以爲威强, 秉人之知謀以爲明察, 因人之德以爲賢良, 非享國而嚴若君父. 且夫聲色滋味權勢之於人, 心不待學而樂之, 體不待象而安之. 夫欲惡避就, 固不待師, 此人之性也. 天下雖非我, 孰能辭之!」
知和曰:「知者之爲, 故動以百姓, 不違其度, 是以足而不爭, 无以爲故不求. 不足故求之, 爭四處而不自以爲貪. 有餘故辭之, 棄天下而不自以爲廉. 廉貪之實, 非以迫外也, 反監之度. 勢爲天子而不以貴驕人, 富有天下而不以財戲人. 計其患, 慮其反, 以爲害於性, 故辭而不受也, 非以要名譽也. 堯舜爲帝而雍, 非仁天下也, 不以美害生也. 善卷許由得帝而不受, 非虛辭讓也, 不以事害己. 此皆就其利, 辭其害, 而天下稱賢焉, 則可以有之, 彼非以興名譽也.」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