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문관
용담의 촛불
용담의 촛불
-[제28칙]구향용담 -
용담 숭신 선사에게 덕산이 가르침을 청하여 듣다가 밤이 깊었다. 용담 선사가 말하였다.
“밤이 깊었는데 왜 물러가지 않는가?”
덕산이 드디어 인사를 하고 발을 들고 나갔다가 다시 들어와서 말하였다.
“캄캄합니다.”
용담 선사가 초에 불을 불을 붙여 건넸다. 덕산이 받으려 하자 용담 선사가 훅 불어 불을 꺼버렸다. 이에 덕산이 홀연 깨닫고 절하였다.
용담 선사가 말하였다.
“그대가 어떤 도리를 보았는가?”
덕산이 대답하였다.
“이후로는 천하 노화상들의 말씀을 의심치 않겠습니다.”
그 다음날 용담 선사가 법상에 올라 말하였다.
“여기 한 사내가 있다. 이빨은 칼을 빼곡 심어놓은 것 같고, 입은 피를 가득 물었는데, 웬만한 몽둥이에는 끄덕도 않을 것이다. 그가 이 다음에 우뚝한 산꼭대기에서 나의 도를 세울 것이다.”
덕산은 금강경소초를 법당 앞에서 불사르며 외쳤다.
“모든 깊은 진리의 말을 다할지라도 털끝 하나를 허공에 놓은 것과 같고 세상의 중요함을 다한다 할지라도 물 한 방울을 깊은 골짜기에 떨어뜨린 것과 같다.”
그리고는 인사를 드린 후 떠났다.
<평창>---------------------------------
덕산 선사가 깨치지 못하였을 때 입으로 다 말할 수 없이 마음에 분하고 분하여 남방에 가서 교리 밖에 특별히 전했다는 뜻을 쓸어 없애 버리려고 예주 땅에 이르렀다. 때가 되어 길가의 떡집 노파에게 점심을 사려고 하니 노파가 물었다.
“스님의 바랑 속에는 무슨 글이 들어 있습니까?”
덕산 선사가 금강경소초라고 대답하니 노파가 말하였다.
“금강경 가운데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다고 했는데 스님은 어느 마음으로 점심을 드시렵니까?”
이 물음에 덕산 선사의 입이 콱 막혀 버렸다. 이렇게 노파에게 지기는 했으나 그냥 물러나지 않고 근처에 어떤 큰 선지식이 계시냐고 물어 오 리 밖에 용담 선사께서 계신다고 하자 용담 선사를 찾아뵙고 노파와의 대담을 이야기했다. 용담 선사께서 덕산 선사에게 아직 불씨가 남아 있는 것을 보시고 덕산 선사를 가여운 어린 아이처럼 여겨 급히 물을 가져다가 불씨마저 없애 버렸다. 그 식은 땅을 본다면 한바탕
크게 웃으리라.
<송>---------------------------------
이름 듣느니 얼굴 보느니만 못하다더니
얼굴을 보니 이름 듣는 것만 못하네
콧구멍은 얻었을지 모르나
어쩔꼬, 눈동자는 멀고 말았으니
-[第28則]久響龍潭 -
龍潭因德山請益抵夜. 潭云, 夜深, 子何不下去. 山遂珍重揭簾而出. 見外面黑, 卻回云, 外面黑. 潭乃點紙燭度與. 山擬接. 潭便吹滅. 山於此忽然有省, 便作禮. 潭云, 子見箇甚麽道理. 山云, 某甲從今日去, 不疑天下老和尙舌頭也. 至明日龍潭陞堂云, 可中有箇漢, 牙如劍樹, 口似血盆, 一棒打不回頭, 他時異日, 向孤峰頂上立吾道在. 山遂取疏抄, 於法堂前將一炬火提起云, 窮諸玄辨, 若一毫致於太虛, 竭世樞機, 似一滴投於巨壑.
將疏抄便燒, 於是禮辭.
無門曰, 德山未出關時, 心憤憤, 口悱悱, 得得來南方, 要滅卻敎外別傳之旨. 及到澧州路上, 問婆子買點心. 婆云, 大德車子內, 是甚麽文字. 山云, 金剛經抄疏. 婆云, 只如經中道, 過去心不可得, 見在心不可得, 未來心不可得, 大德要點那箇心. 德山被者一問, 直得口似匾檐. 然雖如是, 未肯向婆子句下死卻. 遂問婆子, 近處有甚麽宗師. 婆云, 五里外有龍潭和尙. 及到龍潭, 納盡敗闕. 可謂是前言不應後語. 龍潭大似憐兒不覺醜,
見他有些子火種, 郎忙將惡水驀頭一澆澆殺. 冷地看來, 一場好笑.
頌曰. 聞名不如見面, 見面不如聞名, 雖然救得鼻孔, 爭奈瞎卻眼睛.
[목록]